1. 변수명은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한다(약어x)
변수명만 보고도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어야 한다.
변수명의 설명을 주석으로 보완했을 때,
주석이 작성되어 있는 범위를 벗어난다면
변수명에 대한 설명이 작성되어 있는 곳을(주석)
다시 찾아가서 확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의미있고 구체적인 변수명으로 변경해주면 주석이 필요없다.
--> 좋은 코드일수록 주석이 필요 없다.
일반적인 단어들의 조합으로 변수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없다.
대상의 특징을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는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
ex. const stringArray = // 댓글 목록 --> const replyComments =
stringArray는 너무 범용적이다.
2. 의미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하드코딩된 숫자를 쓰지말자
magic number를 변수화하기.
--> 프로그래밍에서 magic number란, 이름없는 숫자 상수 값으로,
의미를 명확하게 알 수 없는 숫자 상수를 직접 코드에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magic number를 사용하면, 다른 개발자가 읽었을 때 이 숫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 없고(가독성 저하)
코드 자체에 직접 작성하게 되면, 나중에 다른 숫자 값으로 기준이 바뀌었을 때,
해당 코드를 하나하나 찾아서 직접 수정해야하는 문제점(유지보수의 어려움)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magic number를 변수화해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array의 특정 인덱스를 조회할 때도 단순히 숫자를 직접적으로 작성하지 않고,
변수에 할당해서 변수명으로 조회하기.
--> hard coded value는 변수화하거나 enum화해서 사용하기
3. 함수
pure function
특정 input 값에 대한 output의 값이 항상 동일하도록 함수를 설계해야 한다.
--> 함수 밖에서 생긴 변화가 함수 안의 동작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된다.
부수효과를 일으키지 않도록 함수를 작성해야 한다(no side-effect)
--> 함수 안에 생긴 변화가 함수 밖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된다.
함수는 한가지의 일만 해야한다.
--> 한가지의 일만 한다는 것은 단일책임원칙을 준수하고 있는 것이다.
단일책임원칙은 모듈, 객체, 함수에 다 적용이 가능한 원칙이다.
수강후기
총 강의 시간이 36분으로 부담스럽지 않은 학습시간임.
클린한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간단하지만 생각해볼만한 거리를 알려준다.
예를 들면 변수화 시켜야할 값들과 변수이름을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 알려준다.
프로그래밍하다가 머리식히고 싶은 초보자들이 들으면 좋은 강의 같다.
'공부기록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read (1) | 2025.07.16 |
---|---|
2025년 7월 9일(수) 조건문 속도 (1) | 2025.07.09 |
클린 코더스 강의 15.1. DIP (0) | 2025.06.25 |
클린 코더스 강의 14.2. LSP(리스코프 치환의 원칙), 14.3 ISP(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0) | 2025.06.25 |
클린 코더스 강의 14.1. OCP(Open-Closed Principle) (0) | 2025.06.25 |